Home스토리최근 4차례 월드컵 한국과 일본 유럽파 선수 숫자 비교.

최근 4차례 월드컵 한국과 일본 유럽파 선수 숫자 비교.

최근 일본의 월드컵 명단을 보면 눈에 띄는 변화가 있다.

바로 유럽파 선수들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이번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일본 선수 26명 중 유럽파가 무려 19명에 달했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과 비교하면 4배 이상 오른 숫자다.

출처: FIFA WORLDCUP 공식 트위터

반면 한국은 약간의 정체기에 있는 듯 하다. 중간에 오르락 내리락 하긴 했지만 12년 전에 비해 2명 증가했다.

(2010 남아공 6명→2022년 8명)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월드컵 명단을 기준으로 한국과 일본의 유럽파 선수 변화를 정리해 봤다.

최근 추세를 보면 격차가 눈에 띄게 벌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0년

대한민국(6)

  • 박지성-맨유(잉글랜드)
  • 이청용-볼튼(잉글랜드)
  • 기성용-셀틱(스코틀랜드)
  • 박주영-AS 모나코(프랑스)
  • 차두리-프라이부르크(독일)
  • 김남일-톰 토스크(러시아)

일본(4)

  • 하세베 마코토-볼프스부르크(독일)
  • 혼다 케이스케-CSKA 모스크바(러시아)
  • 모리모토 다카유키-칼초 카타니아(이탈리아)
  • 마쓰이 다이스케-그로노블 풋(프랑스)

2014년

대한민국(10)

  • 이청용-볼튼(잉글랜드)
  • 김보경-카디프시티(잉글랜드)
  • 윤석영-퀸즈파크레인저스(잉글랜드)
  • 박주영-아스날(잉글랜드)
  • 기성용-스완지시티(잉글랜드)
  • 손흥민-레버쿠젠(독일)
  • 구자철-마인츠05(독일)
  • 홍정호-아우크스부르크(독일)
  • 박주호-마인츠05(독일)
  • 지동원-도르트문트(독일)

일본(12)

  • 혼다 케이스케-AC밀란(이탈리아)
  • 나가토모-인터밀란(이탈리아)
  • 카가와 신지-맨유(잉글랜드)
  • 요시다 마야-사우샘프턴(잉글랜드)
  • 기요타케 히로시-뉘른베르크(독일)
  • 오카자키 신지-마인츠05(독일)
  • 하세베 마코토-프랑크푸르트(독일)
  • 오사코 유야-1860 뮌헨(독일)
  • 우치다 아쓰토-샬케04(독일)
  • 사카이 고토쿠-슈투트가르트(독일)
  • 사카이 히로키-하노버96(독일)
  • 가와시마-스탕다르 리에주(벨기에)

2018년

출처: 대한축구협회

대한민국(5)

  • 손흥민-토트넘(잉글랜드)
  • 기성용-뉴캐슬(잉글랜드)
  • 이승우-베로나(이탈리아)
  • 구자철-아우쿠스부르크(독일)
  • 황희찬-레드불 잘츠부르크(오스트리아)

일본(14)

  • 오카자키 신지-레스터시티(잉글랜드)
  • 요시다 마야-사우샘프턴(잉글랜드)
  • 오사코유야-쾰른(독일)
  • 하세베 마코토-프랑크푸르트(독일)
  • 사카이 고토쿠-함부르크(독일)
  • 하라구치 겐키-뒤셀도르프(독일)
  • 카가와 신지-도르트문트(독일)
  • 우사미 다카시-뒤셀도르프(독일)
  • 무토 요시노리-마인츠05(독일)
  • 시바사키-헤타페(스페인)
  • 이누이 다카시-에이바르(스페인)
  • 가와시마-메스(프랑스)
  • 사카이 히로키-마르세유(프랑스)
  • 나가토모-갈라타사라이(터키)

2022년

대한민국(8)

  • 손흥민-토트넘(잉글랜드)
  • 황희찬-울버햄튼(잉글랜드)
  • 이강인-마요르카(스페인)
  • 김민재-나폴리(이탈리아)
  • 이재성-마인츠05(독일)
  • 정우영-프라이부르크(독일)
  • 황인범-올림피아코스(그리스)
  • 황의조-올림피아코스(그리스)

일본(19)

  • 토미야스-아스날(잉글랜드)
  • 미토마 카오루-브라이튼(잉글랜드)
  • 쿠보 타케후사-레알 소시에다드(스페인)
  • 시바사키 카쿠-레가네스(스페인)
  • 도안 리츠-프라이부르크(독일)
  • 카마다 다이치-프랑크푸르트(독일)
  • 타나카 아오-뒤셀도르프(독일)
  • 타쿠마 아사노-보훔(독일)
  • 요시다 마야-샬케04(독일)
  • 이타쿠라 코-묀헨글라트바흐(독일)
  • 이토 히루키-슈투트가르트(독일)
  • 엔도 와타루-슈투트가르트(독일)
  • 카와시마-스트라스부르(프랑스)
  • 미나미노 타쿠미-AS 모나코(프랑스)
  • 이토 준야-랭스(프랑스)
  • 모리타 히데마사-스포르팅CP(포르투갈)
  • 다니엘 슈미트-신트트라위던(벨기에)
  • 우에다 아야세-세르클러 부뤼허(벨기에)
  • 마에다 다이젠-셀틱(스코틀랜드)
출처: 마요르카 트위터

대표팀 기준이 아니라 유럽 진출 선수 숫자를 따져보면 격차는 더 클 것이다.

물론 유럽파 선수가 많다고 축구를 잘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월드컵 성적이 보장 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최근 추세 변화를 민감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있을 것 같다. 이 격차가 커지는 게 분명 좋은 일은 아닐 테니 말이다.

최신글

Most Popular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