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30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2 2024’ 20라운드 경기에서 심판이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포착됐다.
경기 종료 후 A부심이 하프 라인에서 눈물을 터뜨린 것.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A부심은 수원 소속 B선수(이기제 추정)에게 욕설을 들었다고 주장했다. 후반 추가 시간 2분, 안산의 공격 상황에서 오프사이드 판정을 내리자 B선수가 욕설을 했다는 것.
실제중계 영상에는 B선수가 A부심을 향해 팔을 휘두르는 모습이 담겼다.
대한축구협회 조치
경기 중 A부심은 무선 마이크로 주심에게 상황을 알렸지만 경기는 계속되었다. 경기가 끝난 후 B선수는 A부심에게 사과하려 했으나 거부 당했다.
이 사건은 지난 2일 대한축구협회 심판소위원회에서 다루어졌는데 주심은 1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다.
이정민 협회 심판위원장은 “B선수의 과도한 항의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했다”고 밝혔다.
진실 공방

프로축구연맹은 수원 구단에 경위서를 요청했고, 수원 측은 B선수가 욕설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구단 관계자는 “B선수는 욕설을 부인하고 있으며, 구단은 성실히 조사에 임하고 있다”고 전했다.구단은 주변 선수들의 증언 등을 담아 경위서를 연맹에 제출할 예정이다.
현재 심판위원회는 뚜렷한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증거가 없다 보니 주심에 대한 징계로 사건이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선수가 심판을 향해 경기 도중 욕설을 했다면 그건 분명히 잘못이다. 그리고 징계도 감수 해야 한다. 물론 사실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선수의 말 한마디에 심판이 눈물을 보인 것을 두고 자질이 부족하다는 축구 팬들의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심판의 역할은 공정한 판정, 그리고 깔끔한 경기 운영이다. 이 때 선수들의 항의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도 필요한 게 사실이다.
선수의 행동 하나에 감정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과연 심판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까.